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예전부터 준비하던 프로젝트가 얼마 전부터 속도가 붙으며 블로그를 소홀히 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준비를 위해서 미국 주식도 대대적인 개편을 하는 중이기도 하구요.
조만간 기회가 되면 그 내용으로 포스팅을 하고, 블로그 운영에 대해서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고향사랑 기부제' 라는 제도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투자 팁을 공유하는 곳에서 갑자기 기부라니? 라고 어리둥절해 하실 분들고 계실 것 같은데요,
고향사랑 기부제는 기부도 하고, 세액공제도 받고, 지역 특산품도 선물로 받을 수 있는 1석 3조의 투자상품이기도 합니다.
기부 진행은 위 '고향사랑e음' 홈페이지 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제도에 관한 내용도 홈페이지에 상세하게 나와있는데, 제가 간략하게 정리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 도표는 공식홈페이지에서 소개하고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 인데요, 핵심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본인의 주소지가 아닌 곳에 연간 500만원 이하로 기부하는 금액에 대해서 10만원 이하는 100%, 10만원 초과는 16.5% 의 세액공제 혜택과 함께 기부금액의 30% 한도내의 답례품을 제공하는 제도
투자자의 입장에서, 경제적인 것만 따져 본다면 딱 10만원 만 기부를 한다면 기부한 전액을 세액공제로 돌려받고, 3만원 짜리 선물까지 받을 수 있는 수익률 무한대의 투자상품이기도 합니다.
기부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i) 어차피 내야 할 세금을 본인이 원하는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기부할 수 있고, ii) 일반적인 기부금 세액공제 공제율 (15%) 보다 더 많이 공제해주는 좋은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기부 지역마다 준비된 답례품이 다르기 때문에 답례품이 탐나는 곳이 있다면 전략적으로 그 지역에 기부를 할 수도 있습니다. (고향사랑 이라는 제도의 이름처럼 본인 고향에만 기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아닌 다른 지역 어디에든 기부할 수 있습니다.)
기부 금액 별 세액공제 및 답례품 혜택 금액은 위 표와 같습니다.
답례품이 충분히 가치가 있다면 15만 원 까지는 기부도 하고 이득도 보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답례품도 관광서비스, 농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생활용품, 지역상품권 카테고리로 나뉘어 있고, 카테고리마다 상품도 풍성해서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기부를 진행하고 '선택가능 답례품' 버튼을 눌러서 구매 가능한 답례품들만 뽑아서 볼 수도 있습니다.
제가 기부한 부산시 동래구에는 커피와 온천수 수제 비누, 온천천 봄꽃잔 같은 답례품들이 있었습니다.
오늘 소개드린 '고향사랑 기부제'는 투자자의 입자에서만 보면 그렇게 매력적인 상품은 아니지만 지역 발전을 위한 기부를 하면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알아두면 좋은 제도인 것 같습니다. 제 투자 원칙 중 하나가 '매년 배당금액의 10% 이상 기부하기' 라서 어디에 기부할지도 항상 고민이 되는데, 이런 좋은 제도들이 앞으로도 많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투자전략 > 투자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에 주목해야 할 ETF 10개 (feat. ChatGPT) (0) | 2023.03.14 |
---|---|
Bing AI 에게 물어본 S&P500 (0) | 2023.03.10 |
Bing AI 에게 물어본 SCHD (2) | 2023.03.09 |
자녀 주식 증여, 심화편 2 (0) | 2023.02.10 |
자녀 주식 증여, 심화편 (2)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