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전략

(31)
자녀 주식 증여, 심화편 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녀에게 증여해준 돈으로 어떤 주식에 투자하면 좋을지, 투자했을 때 예상되는 수익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할 주식은 아래의 세가지 경우로 나누어보았습니다. 1. VOO → 투자 대가들의 클래식,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경우. 2. SCHD → 서학개미들 사이에서 핫한 배당성장 ETF에 투자하는 경우. 3. QLD → 야수의 심장으로 레버리지에 장기투자하는 경우. 보통 자녀를 위해 목돈이 필요한 경우는 대학 등록금이나 결혼 자금이 아닐까 싶은데요, 20세에 대학에 가고 30세에 결혼하는 것을 가정해서 자녀가 20세, 30세가 되는 시점에서의 수익을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ase 1. VOO 에 투자 백테스트 조건 - VOO 상장 이후..
자녀 주식 증여, 실전편 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녀에게 증여를 하고, 주식 투자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다루려고 합니다. 성인 자녀의 경우 자녀가 직접 계좌 개설 등을 진행하면 되기 때문에,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를 할 때는 아래의 세 단계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1. 미성년 자녀의 계좌 개설 2. 자녀의 계좌로 증여금 이체 3. 국세청 증여 신고 각 단계에 대해서 하나씩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성년 자녀의 계좌 개설 미성년 자녀의 계좌 개설은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준비물들을 지참하여 은행에 방문하면, 은행 계좌 및 증권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 부모의 신분증 자녀의 주민등록 초본, 기본증..
자녀 주식 증여, 기초편 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이번에는 세편에 걸쳐서 자녀에게 증여한 돈으로 주식 투자하는 것의 장점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자녀 주식 증여라고 하면 주식 자체를 바로 증여해주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 방법은 주식 시세를 수기입력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조금 더 복잡합니다. 그래서 저는 현금 증여 후 주식 투자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투자의 수익률 만큼이나 중요한것이 '절세' 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절세' 유무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큰 곳이 바로 '증여'가 아닐까 싶습니다. 증여는 내가 가진 물품 따위를 누군가에게 넘겨주는 행위를 뜻하는데요, 보통은 가족간에 가치있는 물품 (부동산, 현금, 주식 등) 을 주고받는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증여자 공제한도액 배우자 6억원 직계존속..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by. 하워드 막스 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aktree Capital 의 공동 창업자이자 월가의 투자 대가 중 하나로 꼽히는 하워드 막스의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이라는 책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Oaktree Capital 은 세계 최대의 부실증권 (정부나 기업의 파산시에 발행되는 증권) 투자자이기도 한데요, 그것만 봐도 하워드 막스가 거시경제의 흐름이나 시장의 사이클에 대한 통찰이 대단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를 시작한지 얼마 안된 분들이라도 코로나 폭락장과 이후의 광기어린 시장을 경험하셨다면 마켓 사이클의 중요성을 어렴풋이나마 느끼셨을 겁니다. 마켓 사이클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들은 꼭 이 책을 읽어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저는 '마켓 타이밍'을 추구하지 않는 투자자이지..
자금 규모별 투자전략 추천 (3) 일억 원이 있다면? 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자금 규모별 투자전략 추천 3편, '나에게 일억 원이 있다면?'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천만 원 편에서는 가장 정석적인 투자 방법을, 오천만 원 편에서는 일부를 마음대로 운용해보는 방법을 추천 드렸었는데요, 일억 원 부터는 다양한 자산군에 관심을 가지고 종합적인 전술을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억 원 부터는 플레이어가 아닌 감독이 되어야 합니다. 일억 원 부터는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10% 만 손실이 발생해도 천만 원 이라는 엄청난 금액이 사라집니다. 그렇다고 모든 포트폴리오를 리스크가 낮은 자산으로 채운다면 수익률이 떨어지겠죠. (투자의 세계에서는 아무런 리스크도 감수하지 않으려는 태도가 가장 커다란 리스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투자금을 공격적 자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