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오늘은 개인연금 포트폴리오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직장인으로써 당장 많은 세금 혜택을 주고 장기적으로는 노후 대비가 가능한 개인연금은 상당히 매력적인 투자 수단인데요, 저는 연금저축과 IRP 를 이용하여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의 경우 연금저축이 보험에서 펀드로 변경할 수 있게된 것이 2021년이라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변경 하자마자 미장 폭락을 경험중입니다 ^^)
연금저축 투자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초기에는 선진국 MSCI/채권 등도 섞어가며 올웨더 스럽게 운영하려고 했지만, 연금저축 성격상 20년 이상 강제로 투자를 해야 하기 때문에 지난달부터 채권 및 선진국 지수를 제외하고 S&P500, 나스닥100, 고배당 3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정비하였습니다. (그래도 미국달러단기채권으로 하락 방어를 좀 했습니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는 많은 분들이 좋아하는 SCHD 의 한국버전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직 만들어진지 한달정도밖에 안된 ETF 라 장기적으로 SCHD 와 비슷한 퍼포먼스를 보이는지에 따라서 비율을 조절할 예정입니다.
🔻 연금저축펀드 투자현황
종목코드 | 종목명 | 대분류 | 중분류 | 현재주가 | 목표비중 | 보유량 | 현재총액 |
379800 | KODEX 미국S&P500TR | 주식 | 미국 | ₩11,570 | 35% | 796 | ₩9,209,720 |
379810 | KODEX 미국나스닥100TR | 주식 | 미국 | ₩10,005 | 35% | 982 | ₩9,824,910 |
446720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주식 | 미국 | ₩9,965 | 30% | 653 | ₩6,507,145 |
IRP 투자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역시 초기에는 선진국/신흥국/채권 등을 섞어서 올웨더 스럽게 운영하려고 했지만, 금액이 얼마 안되는 IRP 까지 리밸런싱을 신경쓰며 관리하고싶지 않아서 필수로 가져가야 하는 안전자산 30%는 TDF 로 몰아넣고, 역시 S&P500, 나스닥100, 고배당 3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정비하였습니다.
S&P500 과 나스낙100 운용사가 연금저축과 IRP 계좌에서 다른 것은 큰 이유는 없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배당을 자동 재투자 해주는 TR 로 하면서 TR 운용사 중 시총이 가장 큰 곳으로, IRP 는 그냥 시총이 가장 큰 곳으로 정한것입니다.
🔻 IRP 투자현황
종목코드 | 종목명 | 대분류 | 중분류 | 현재주가 | 목표비중 | 보유량 | 현재총액 |
360750 | TIGER 미국S&P500 | 주식 | 미국 | ₩13,010 | 25% | 88 | ₩1,144,880 |
133690 | TIGER 미국나스닥100 | 주식 | 미국 | ₩67,760 | 25% | 11 | ₩745,360 |
446720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주식 | 미국 | ₩9,965 | 20% | 209 | ₩2,082,685 |
- | 키움키워드림TDF2045 | 펀드 | 혼합 | - | 30% | 0 | ₩940,049 |
연금저축펀드와 IRP 는 다른 계좌대비 금액도 작고 다이나믹하게 리밸런싱이 되진 않을 것 같지만 (+제가 현재 휴직중이라 연금저축펀드는 납입이 중지된 상태입니다.) 매달 현황 및 세금혜택 현황을 업데이트하여 공유 드리려고 합니다.
'투자현황 > 개인연금 투자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T 개인연금 포트폴리오 2023년 3월 현황 (0) | 2023.04.17 |
---|---|
1T 개인연금 포트폴리오 2023년 2월 현황 (0) | 2023.03.08 |
1T 개인연금 포트폴리오 2023년 1월 현황 (0) | 2023.02.03 |
1T 개인연금 포트폴리오 2022년 12월 현황 (0) | 2023.01.04 |
1T 개인연금 포트폴리오 2022년 11월 현황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