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오늘은 제 나름대로 최적화를 거친 '1T 올웨더 단순버전'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올웨더 전략을 접한 것은 2019년 말이었는데요, 아마 많은 분들께서 알고 계실 김단O 님의 유튜브를 통해서 였습니다. (창업+엑시트+카카오주식 대박 이후에 올웨더 투자 전도사가 되신 김단O 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하겠습니다.)
김단O 님의 올웨더 종목 및 비율은 2020년도에 출판한 '절대수익 투자법칙' 이라는 책 및 여러 블로그에 소개가 되어 있는데, 해당 비율을 토대로 저는 아래와 같이 좀 더 단순화 한 버전을 만들고 운용중에 있습니다.
Ticker | Name | 김단O 버전 | Max.Sharpe |
VT | Vanguard Total World Stock Index Fund ETF | 35.0% | 54.3% |
EDV | Vanguard Extended Duration ETF | 20.0% | 30.0% |
VCLT | Vanguard Long-Term Corporate Bond Idx Fund ETF | 7.5% | 5.7% |
EMLC | VanEck JP Morgan EM Local Currency Bond ETF | 7.5% | |
LTPZ | PIMCO 15+ Year US TIPS Index Exchange-Traded Fund | 20.0% | 10.0% |
IAU | iShares Gold Trust | 5.0% | |
DBC | Invesco DB Commodity Index Tracking Fund | 5.0% |
단순화시킨 방식은 Portfolio Visualizer 라는 사이트의 'Portfolio Optimization' 기능을 사용하였습니다.
올웨더 전략을 통해 투자하는 이유는 변동성을 낮추기 위함이므로 'Mean Variance - Maximize Sharpe Ratio' 옵션을 사용했으며, 투자방식이 거치식이 아니라 적립식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우상향이 아닌 진동+변동성이 큰 자산이라고 생각하는 금 (IAU) 및 원자재 (DBC) 를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최적화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위 표의 'Max.Sharpe' 열에 정리된 것과 같이 VT, EDV, VCLT, LTPZ 4가지 종목만으로 구성된 저만의 올웨더 포트를 선정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2010년부터 2021년까지 11년간 위 비율대로 매달 리밸런싱 하며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 백테스트 데이터 입니다. 2021년 말 기준으로 CAGR 10% 이상, MDD -8.8% 라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2022년의 대폭락장을 포함해서 최근에 다시 백테스트를 돌려본 결과, CAGR 은 7%대로, MDD 도 30%대로 처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백테스트란 것이 포함하는 기간에 따라 천차만별의 결과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채권 ETF들의 운용 기간이 짧아서 백테스트가 2010년 부터만 되는게 함정입니다 ㅠ) 다시 최적화를 하기 보다는 일단 1차 최적화를 한 포트대로 운용을 하면서 추가적인 깨닳음이 생기면 수정하려고 합니다.
'시간과 신경을 덜 쓰는 투자' 가 모토인데 MDD를 얻어맞으니 신경이 쓰이는 건 어쩔 수 없네요.
그래도 저는 시장이 부활할 날을 기대하며, 계속해서 적립식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제부터는 매달 올웨더 추매/리밸런싱 내역 및 현황을 정리하여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투자현황 > 기타미주 투자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T 올웨더 포트폴리오 2023년 3월 현황 (0) | 2023.04.05 |
---|---|
1T 올웨더 포트폴리오 2023년 2월 현황 (0) | 2023.03.03 |
1T 올웨더 포트폴리오 2023년 1월 현황 (0) | 2023.02.01 |
1T 올웨더 포트폴리오 2022년 12월 현황 (0) | 2023.01.02 |
1T 올웨더 포트폴리오 2022년 11월 현황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