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제가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LOC 라는 기능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로, LOC 란 무엇인가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LOC 는 Limit On Close 의 약자로, 모든 증권 어플에서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는 매수/매도 기능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종가에 따라서 매수/매도 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을 매수/매도 하실때 '지정가' 또는 '시장가' 로 거래를 하실텐데, LOC 를 사용하시면 밤을 새지 않고도 미국주식 시장 상황에 따라 매수/매도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LOC 로 매수하는 경우, 당일 종가가 LOC 로 설정한 가격 이하인 경우에 대해서만
종가로 주문이 체결되게 됩니다. 좀 더 자세한 예시는 아래 케이스별로 다뤄보았습니다.
어떤 종목의 1일 가격 추세가 위 그래프와 같다고 가정하고, 크게 3가지 경우로 나눠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Case1 - 장 시작 전 120달러에 '지정가' 예약매수했을 때와 LOC 예약매수했을 때
· 지정가 예약매수 → 장 시작시점에 120달러에 주문 체결
· LOC 예약매수 → 장 종료시점의 가격이 120달러 이하이므로 주문 진행, 종가인 65달러로 체결
(LOC 가 55달러 x 주문 수량만큼 이득)
Case2 - 장 시작 전 110달러에 '지정가' 예약매수했을 때와 LOC 예약매수했을 때
· 지정가 예약매수 → 장 중 110달러 도달시점에 110달러에 주문 체결
· LOC 예약매수 → 장 종료시점의 가격이 110달러 이하이므로 주문 진행, 종가인 65달러로 체결
(LOC가 45달러 x 주문 수량만큼 이득)
Case3 - 장 시작 전 60달러에 '지정가' 예약매수했을 때와 LOC 예약매수했을 때
· 두 경우 모두 미체결 (차이 없음)
LOC 로 매도하는 경우, 당일 종가가 LOC 로 설정한 가격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만
종가로 주문이 체결되게 됩니다. 좀 더 자세한 예시는 아래 케이스별로 다뤄보았습니다.
어떤 종목의 1일 가격 추세가 위 그래프와 같다고 가정하고, 크게 3가지 경우로 나눠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Case 1 - 장 시작 전 120달러에 '지정가' 예약매도했을 때와 LOC 예약매도했을 때
· 지정가 예약매도 → 장 종료시점에 120달러에 주문 체결
· LOC 예약매도 → 장 종료시점의 가격이 120달러 이상이므로 주문 진행, 종가인 120달러로 체결
(차이 없음)
Case2 - 장 시작 전 110달러에 '지정가' 예약매도했을 때와 LOC 예약매도했을 때
· 지정가 예약매도 → 장 중 110달러 도달시점에 110달러에 주문 체결
· LOC 예약매도 → 장 종료시점의 가격이 110달러 이상이므로 주문 진행, 종가인 120달러로 체결
(LOC가 10달러 x 주문 수량만큼 이득)
Case3 - 장 시작 전 60달러에 '지정가' 예약매도했을 때와 LOC 예약매도했을 때
· 지정가 예약매도 → 장 중 60달러 터치 하지 않는 경우 미체결
· LOC 예약매도 → 장 종료시점의 가격이 60달러 이상이므로 주문 진행, 종가인 120달러로 체결
(LOC만 익절 구현)
이렇게 LOC 기능을 이용하여 예약 매수/매도를 하는 경우 장의 흐름에 따라 주문이 체결되도록 하여 밤을 새지 않고도 경우에 따라서는 '지정가' 또는 '시장가' 거래보다 이득을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물론 이번 글에서는 기본적인 설명을 드리기 위해서 우하향할 때 매수하고 우상향할 때 매도하는 LOC 가 유리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는데요, 추가적인 포스팅을 통해서 매수할 때 LOC 를 활용하는 팁들과 매도할 때 LOC 를 활용하는 팁, 그리고 그 외 활용방법들에 대해서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투자전략 > 투자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C 3탄 - 매도 활용 (0) | 2023.01.12 |
---|---|
LOC 2탄 - 매수 활용 (0) | 2023.01.11 |
조건 없는 7% 고금리 적금 (0) | 2022.12.27 |
복리의 마법? 복리 테이블로 확인하기! (0) | 2022.12.23 |
은퇴자금 계산기 (2)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