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전략/투자 팁

자녀 주식 증여, 심화편

 

안녕하세요. 1T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녀에게 증여해준 돈으로 어떤 주식에 투자하면 좋을지, 투자했을 때 예상되는 수익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할 주식은 아래의 세가지 경우로 나누어보았습니다.

 

1. VOO → 투자 대가들의 클래식,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경우.

2. SCHD → 서학개미들 사이에서 핫한 배당성장 ETF에 투자하는 경우.

3. QLD → 야수의 심장으로 레버리지에 장기투자하는 경우.

 

보통 자녀를 위해 목돈이 필요한 경우는 대학 등록금이나 결혼 자금이 아닐까 싶은데요, 20세에 대학에 가고 30세에 결혼하는 것을 가정해서 자녀가 20세, 30세가 되는 시점에서의 수익을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ase 1. VOO 에 투자

백테스트 조건
- VOO 상장 이후 현재까지 평균 수익률을 계산 (feat. portfolio visualizer)
- 증여세 공제한도에 맞춰서 10년마다 증여
- 별도의 리밸런싱은 없음, 배당금은 재투자
- 계산 편의를 위해 1달러 = 1,000원 가정

 

2011.01~2023.01 VOO CAGR = 12.35%

 

VOO 에 투자하는 경우 CAGR 은 12.35% 입니다. 증여세 공제한도에 맞춰서 증여해서 투자하는 경우 자녀가 20세 및 30세에 갖게되는 총 가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20세: 2억 8982만 원 (원금 9천만 원, 수익금 ~2억 원)

30세: 9억 6104만 원 (원금 1억 4천만 원, 수익금 ~8억 원)

 

 

Case 2. SCHD 에 투자

백테스트 조건
- SCHD 상장 이후 현재까지 평균 수익률을 계산 (feat. portfolio visualizer)
- 증여세 공제한도에 맞춰서 10년마다 증여
- 별도의 리밸런싱은 없음, 배당금은 재투자
- 계산 편의를 위해 1달러 = 1,000원 가정

 

2012.01~2023.01 SCHD CAGR = 13.61%

 

SCHD 에 투자하는 경우 CAGR 은 13.61% 입니다. 증여세 공제한도에 맞춰서 증여해서 투자하는 경우 자녀가 20세 및 30세에 갖게되는 총 가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20세: 3억 3898만 원 (원금 9천만 원, 수익금 ~2억 4천만 원)

30세: 12억 4288만 원 (원금 1억 4천만 원, 수익금 ~11억 원)

 

 

Case 3. QLD 에 투자

백테스트 조건
- QLD 상장 이후 현재까지 평균 수익률을 계산 (feat. portfolio visualizer)
- 증여세 공제한도에 맞춰서 10년마다 증여
- 별도의 리밸런싱은 없음, 배당금은 재투자
- 계산 편의를 위해 1달러 = 1,000원 가정

 

2007.01~2023.01 QLD CAGR = 19.65%

 

QLD 에 투자하는 경우 CAGR 은 19.65% 입니다. 증여세 공제한도에 맞춰서 증여해서 투자하는 경우 자녀가 20세 및 30세에 갖게되는 총 가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20세: 7억 5498만 원 (원금 9천만 원, 수익금 ~6억 6천만 원)

30세: 45억 4071만 원 (원금 1억 4천만 원, 수익금 ~44억 원)

 

 

최소 2억 부터 최대 44억 원의 수익금!
생각해봐야 할 점들은?

 

 

백테스트 결과 정말 어마어마한 금액들이 나왔는데요, 사실 여기에는 생각해봐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VOO 에 투자하는 경우: 미국장이 앞으로도 유망할 것인가?

 

 

2011년 이후 미국 주식시장이 굉장히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2000년대만 하더라도 미국시장이 닷컴버블과 서브프라임 사태를 거치며 지수가 횡보하는 보습을 보이기도 했죠. S&P500 지수 백테스트를 VOO 가 아닌 SPY 로 진행하면 CAGR 이 1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이 바로 그 때문입니다. (SPY 는 1994년 상장)

 

앞으로 미국보다 다른 시장이 더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하신다면 여러 대안들이 있습니다. 아래에는 글로벌 지수에 투자하는 ETF 들이며, 이 외에도 선진국, 개발도상국 등 다양한 시장 지수에 투자하는 ETF 들이 있습니다.

 

VEU (Vanguard FTSE All-World ex-U.S. ETF): 미국을 제외한 세계 곳곳의 선진국 위주로 투자. 글로벌 시장에서 해당 국가 주식시장 총액을 가중평균해서 지수 비중을 정한다. 유럽 44%, 태평양 25%, 이머징마켓 23%.

VT (Vanguard Total World Stock ETF):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주식시장에 투자. 세계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98%를 포함. 미국 58%, 일본 8%, 영국 5%. 단 1개의 ETF로 전 세계 주식시장에 투자하고 싶다면 VT.

VXUS (Vanguard Total International Stock ETF) & IXUS (iShares Core MSCI Total International Stock ETF): VT에서 미국만 투자 대상에서 제외한 ETF로 거의 비슷한 상품. 미국을 제외한 세계 주식시장의 시가총액 99%를 포함.

ACWI (iShares MSCI ACWI ETF): 선진국 23곳과 신흥국 24곳의 대형주와 중형주에만 투자,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85%를 포함. 미국 56%.

ACWX (iShares MSCI ACWI ex U.S. ETF) & CWI (SPDR MSCI ACWI ex-U.S. ETF): ACWI에서 미국만 투자 대상에서 제외한 ETF로 거의 비슷한 상품.

 

 

SCHD 에 투자하는 경우: SCHD 상장 이후 미국장은 줄곧 호황, 과연 앞으로는?

 

 

앞에서 말씀드린 것과 비슷한 문제가 SCHD 에도 있습니다. SCHD 가 2011년 상장되었기 때문에 미국 장이 호황일 때의 효과를 제대로 본 종목이라는 점입니다. 앞으로 미국 시장이 이전과 비슷한 성적을 보여줄까요? 그 중에서도 배당성장 종목들이 꾸준한 퍼포먼스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누구도 쉽게 답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미국 주식 시장의 영향력은 20년 이상 지속될 것이며, 주주 친화적인 기업들에 투자자들이 몰리고 가치가 상승하는 분위기는 계속 이어질것이라고 생각합니다.

 

 

QLD 에 투자하는 경우: -80%를 넘어 상폐 가능성은?

 

 

백테스트 상으로 엄청난 수익률과 수익금을 보여주는 QLD 가 과연 증여 후 투자할 주식으로 가장 좋은 걸까요?

 

평균 수익률은 가장 좋은 QLD 의 Drawdwon 차트

 

위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QLD 는 2008~2009년에 -80% 이상 폭락한 적이 있고, 이 때 원금을 회복하는데 3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하락을 시작한 시점부터 계산하면 4년 5개월 동안 손실구간에 있었죠. 아무리 자녀의 증여 계좌라 들여다 볼 일이 없다고 해도 이정도의 폭락과 장기간의 손실구간을 마음 편히 보고 있을 수 있을까요?

 

이런 폭락과 장기 손실을 버틸 수 있다고 대답하더라도 사실 더 큰 문제가 숨어있습니다. QLD 는 2000년대 초반의 닷컴버블급 위기에서 증명된 적은 없는 종목이라는 점입니다.

 

QQQ 의 Drawdown 차트

 

위 차트는 QQQ 의 drawdown 차트 입니다. QQQ 는 닷컴버블 당시 -80% 이상의 폭락을 보였고, 원금이 회복되는데 12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QQQ가 -80% 의 손실을 보인다면,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QLD 는 과연 어떻게 될까요? 상장폐지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자녀에게 증여해준 돈으로 QLD 와 같은 레버리지 상품을 투자하실 분들은 시장 상황을 잘 살피시길 추천 드립니다. 또한 자녀가 20세 혹은 30세가 될 때까지 보유한다는 생각보다는 어느정도 기간 내에 수익을 본 뒤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종목으로 갈아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원래 자녀 주식 증여 시리즈를 세 편에 걸쳐서 포스팅한다고 말씀 드렸었는데, 분량 조절 실패로 한편을 더 올려드릴 예정입니다. 마지막 포스팅은 자녀 증여 관련해서 좀 더 생각해볼 점들을 모아보았습니다.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투자전략 > 투자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ng AI 에게 물어본 SCHD  (2) 2023.03.09
자녀 주식 증여, 심화편 2  (0) 2023.02.10
자녀 주식 증여, 실전편  (0) 2023.02.08
자녀 주식 증여, 기초편  (0) 2023.02.07
LOC 4탄 - 응용법  (0) 2023.01.13